💡 신입보다 연봉이 낮을 수도 있다고? 쉽게 확인하는 방법!
회사에서 몇 년을 일했는데, 새로 들어온 신입사원의 연봉이 나보다 더 높다면?
이런 경우, 막상 직접 확인하기 전까지는 알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.
소규모 회사에서는 연봉 체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, 기존 직원보다 신입이 더 높은 연봉을 받는 일도 의외로 자주 있다. 하지만 미리 알고 대비하면 불리한 상황을 피할 수도 있다.
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신입사원의 연봉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과, 내 연봉이 적정한지 점검하는 법을 소개하려고 한다.
연봉 협상을 앞두고 있거나,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면 꼭 한 번 체크해보자.
👇 그럼, 어떻게 하면 알 수 있을까? 지금부터 알아보자!
🔎 소규모 회사 신입사원 연봉 추정법
✅ 기본 개념
4대 보험 기준으로 신고되는 평균임금은 회사 전체 직원들의 월평균 급여를 의미해. 신입사원이 입사하면 전체 인원이 늘어나면서 평균임금도 변동되는데, 이를 활용하면 신입사원의 급여를 역산할 수 있어.
💡 실제 계산 예시
✔ 3월 데이터:
- 직원 수: 10명
- 평균임금: 350만 원
- 총임금(추정): 10명 × 350만 원 = 3,500만 원
✔ 4월 데이터:
- 직원 수: 11명 (신입 입사)
- 평균임금: 360만 원
- 총임금(추정): 11명 × 360만 원 = 3,960만 원
📌 신입사원 급여 계산:
- 4월 총임금 - 3월 총임금 = 신입사원의 월급
- 3,960만 원 - 3,500만 원 = 460만 원
- 따라서, 신입사원의 급여는 460만 원으로 추정 가능
⚠ 주의할 점
✅ 연봉 협상한 직원이 있는지 확인해야 함
신입사원 연봉을 추정할 때 기존 직원의 연봉 인상분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어.
예를 들어, 4월에 기존 직원 중 일부가 연봉 협상을 통해 월급이 인상되었다면, 전체 평균임금이 증가한 원인이 신입사원 급여 때문이 아닐 수도 있음.
✔ 예시:
- 기존 직원 2명이 4월에 월급이 각각 20만 원씩 인상됨 → 전체 임금 증가분: 40만 원
- 만약 이걸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면 신입 연봉이 실제보다 높게 추정될 수 있음
따라서, 신입사원의 연봉을 추정할 때는 같은 시기에 기존 직원들의 연봉 변동이 있었는지 꼭 체크해야 함.
✅ 상여금, 수당 포함 여부 확인
- 4대 보험 기준 신고 금액에는 기본급 + 일부 수당이 포함되지만, 성과급이나 상여금 등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음.
- 만약 특정 달의 평균임금이 급격히 상승했다면, 신입사원의 연봉이 높은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상여금 지급 때문일 가능성이 있음.
✅ 회사마다 4대 보험 신고 방식이 다를 수 있음
- 일부 회사는 급여를 분산 지급하거나, 기본급을 낮추고 성과급을 높이는 방식으로 신고하는 경우도 있음.
- 따라서, 단순 계산만으로는 정확한 신입 연봉을 알기 어려울 수도 있음.
🧐 이 방법이 유용한 이유
✅ 연봉 협상 시 활용 가능 → 본인의 연봉이 적정한지 판단할 수 있음
✅ 소규모 회사의 연봉 추정 가능 →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기업이라도 대략적인 신입 연봉을 알아낼 수 있음
✅ 연봉 정보 사이트보다 최신 데이터 반영 → 4대 보험 신고 기준이라 실시간성이 높음
'직장인 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원한 아군은 없다: 직장 내 동료와의 관계에서 배운 교훈 (0) | 2025.03.15 |
---|---|
회사 특혜의 실체와 현명한 대처법 (0) | 2025.03.15 |
연차제도 활용법과 악용하는 업체 대응 방법 (0) | 2025.03.14 |
중고신입, 왜 선택하는가? 그리고 성공하는 방법! (0) | 2025.03.14 |
연봉 협상 준비하는 법 & 필수 정보 사이트 활용법 (0) | 2025.03.12 |